7일차 - 빛과 조명 : Strobo eTTL Mode 노출과 노출보정
2012년 12월 24일 맑음 무척 추움
- 일곱번째 학원 다녀 온 날. 드디어 나도 플래쉬를 갖추고 강의를 들을 수 있는 날이었다. 비록 다른 분들보다는 규격이 한 등급 떨어지는 것이라도 내 플래쉬(430ex)를 가지고 실습을 해 볼 수 있어 기대를 가지고 입실. 오늘도 일등이다. 책걸상을 다른 방에서 가져다 놓고 강의 대기 모드. 오늘 강의는 플래쉬를 ETTL(자동) 모드로 설정해서 촬영하는 법을 듣는 날. 플래쉬가 없는 날은 실습대신 필기를 열심히 했었는데 플래쉬가 있으니 실습을 하느라 필기가 좀처럼 어려웠다. 필기 할 여유가 생기지 않았다. ETTL 모드에서 플래쉬 노출 보정을 하는 방법을 배우고 오늘 강의는 끝.
- 복습 : 동일 노출 촬영
1> 1/64 2m f:5.6 + 무선동조기(Strobo 분리 사용) 촬영
2> 1/16 4m f:5.6 : 1> 보다 -2 step 차이므로 광량조정 (거리가 멀어져서 1/64 -> 1/16으로 광량 늘림)
3> 1/64 4m f:2.8 : 2> 보다 -2 step 차이므로 조리개를 개방 (조리개 개방으로 광량이 늘어 1/16 -> 1/64
로 광량을 줄임)
- 기타
1> Strobo Bounce 사용 : 직접 광량을 확인 후 촬영을 해야 하며,Bounce 되는 거리와 반사 환경을 고려해야 함.
- 질문 : 어느 결혼식장에서 촬영기사가 580ex를 4개 사용하는 것을 보았는데,왜 4개를 사용하는지 의문이 들고
어떤 잇점이 있는가? 답은 미련한 짓이다.
1> 580ex f:8이 적정노출이 될 때, 만일 580ex를 하나 더 추가하면 f:11이 된다.
2> 1 step = 광량이 2재로 늘거나 1/2배로 줄었음을 의미한다.
2 step = 광량이 4배로 늘거나 1/4배로 줄었음을 의미한다.
3 step = 광량이 8배로 늘거나 1/8배로 줄었음을 의미한다.
3>그러므로 580ex를 4개 사용하면 f:16이 된다.
4> 2 step을 얻기 위해 Strobo를 4개 사용하는 것은 잘못된 선택이다. 2 step을 얻기 위한 다른 방법 선택이
훨씬 효율적이다.
- eTTL Mode는 f나 iso에 따라 피사체와의 거리(범위)가 자동 변경된다. 표시된 거리내에서 촬영을 하면
광량도 자동으로 조정이 된다.
1> 카메라와 Strobo간 정보교환을 한다.(AF,렌즈,노출계 정보가 자동으로 교환된다.)
2> 예비발광과 본발광을 하게 된다. 반면 수동 모드는 본발광 한번만 있다. 여기서 예비발광은
카메라 노출계 작동을 위한 것이다.
3> 예비발광은 본발광이 Gray가 되도록 Strobo의 광량을 자동조정하는 것이 목적이다. 그러므로
검은 벽을 찍으면 노출과다가 되고, 흰색 벽을 촬영하면 노출부족이 된다.)
4> FE-L (Flash Exposure Lock) : 미리발광(예비발광)으로 본발광의 광량을 고정한다.
카메라의 '*' 버튼이 이 역활을 하는데 FE-L 기능을 사용 할 때는
* 버튼을 AE-L 기능(반셔터와 동일 기능)으로 사용하면 안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