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강의노트

8일차 - 빛과 조명 : Strobo eTTL 완전정복

김동운 2012. 12. 27. 14:58

2012년 12월 27일 맑음

 

- 여덟번째 학원 다녀 온 날. 오늘 강의는 실습 위주였다. 저번 강의에서 배운 플래쉬 모드 중 자동노출(광량) 실습. 완전정복을 목표로 강력 실습. 수강자들은 대충 노는 분위기. 플래쉬 바운스 시켜 촬영하는 방법도 강의가 있었다. 갑자기 배속에서 꼬르륵 소리가 들렸다. 아침을 걸러서 밥 달라 보채기 시작. 내 귀에만 들려야 할텐데 다른 사람에게도 들린다면 민망이다. 괜히 두 팔로 배를 꾹 누렸다. 두 팔로 전해오는 진동...다음 시간엔 플래쉬에 필터를 사용하여 특수 촬영하는 방법을 배운다 한다. 기대 만땅이다.

 

- eTTL Mode

   1> 예비발광 또는 미리발광으로 본발광의 광량을 자동으로 조정한다. 그래서 그때그때 광량이 변한다.

   2> 광량이 부족 할때는 광량보정을 하여야 한다.

   3> FE-L 기능을 활용하여 본발광의 광량을 고정 한다. 예비발광(미리발광) 할 때 카메라는

       Spot 측광을 하게 된다. 그래서 광량을 맞춘 곳보다 가까운 피사체는 노출과다가 되고,

       먼 피사체는 노출부족이 된다.

   4> Strobo가 eTTL Mode로 설정일 때는 카메라 측광이 평가 또는 평균측광만 설정되도록 되어 있지만,

       FE-L 기능을 사용하면 실제로는 Spot 측광으로 동작을 한다. 반면 카메라가 Spot 측광으로 설정이

       되어 있어도 eTTL Mode로 촬영하면 평가 또는 평균측광으로 동작이 된다.

- Strobo 분리 사용

   1> 유선 연결 : 기기 정보 전송이 되지 않는다. 단지 Strobo on/OFF만 제어가 된다.

                       eTTL Mode가 지원 되지 않는다.

   2> 케논의 경우 : 전용 무선 동조기는 정보 전송이 되나,적외선 통신 이므로 제한이 있다.

                          eTTL Mode가 지원 된다. 다른 메이커의 무선 동조기를 사용 할 경우엔

                          eTTL Mode가 지원 되지 않는다.수동노출만 지원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