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강의노트

4일차 - 빛과 조명 : 카메라 스트로보 Manual Mode 광량조정

김동운 2012. 12. 13. 17:32

2012년 12월 13일 맑음

 

- 네번째 학원 다녀 온 날. 오늘도 일등으로 입실. 책상도 의자도 칠판도 없다. 이 학원은 아예 강의 준비나 강의실 청소엔 신경을 쓰질 않나보다. 강의실이 휑하고 너저분하다. 일등으로 온 죄(?)로 책걸상 가져다 정리하고 칠판도 가져다가 놓고 대략 청소도 했다 혼자. 학원비 깍아달라 할까봐 뭐! 그런 생각을 잠시 했다. 첫 강의가 시작되었는데 플래쉬를 장착한 사진기를 꺼내라 한다. 당연 난 준비를 하지 않았다. 플래쉬를 많이 사용 할 것도 아니니까 대충 내장플래쉬로 때우려 했었다. 그런데 플래쉬를 수동노출로 설정하고 거리에 따른 광량을 알아야 하고....그런게 역제곱의 법칙이라나 뭐라나.. 암튼 내장플래쉬로는 강의를 따라가거나 실습이 되질 않았다. 옆에 계신 분 것을 빌려서 보고 실습을 했다. 이대로 강의를 ...듣다가는 옆사람에게 신세만 지고 피해를 줄 것 같았다. 자동으로 설정하고 대충 촬영하면 (이전에 내가 그랬듯이) 사진이 안 나오는것은 아닌데 흡족한 사진은 건지기가 매우 어렵다는 걸 깨달았다. 회사로 돌아와서 우선 플래쉬 주문을 했다. 그런데 이 플래쉬 가격이 사진기 바디 값이랑 얼추 비슷하다. 배보다 배꼽이 큰 경우에 낚인 경우랄까? 옆으로 매는 가방이 출사 나갈때 불편해서 백팩을 플래쉬 구입하면서 같이 구입했는데.. 내 생각대로 괜찮아야 될텐데... 어디 자문 받을곳도 없고 참! 그런데 이 와중에 케논 전문점에 계신 분이 백팩을 산다니까 케논에서 사지 말고 가방전문점에서 사는게 더 좋다고 충고를 해 주셨다. 아니 뭐 이런 경우가? 케논전문점에서도 파는데 케논전문점에서 사는 것보다 가방전문점에서 사는 것이 종류도 다양하고 적절하다는 것이다. 보통의 경우 매상때문이라도 두말않고 자기 제품을 파는게 맞는법인데... 케논 전문점의 그 분 솔직하고 진정성 있어 좋다. 자기가 가방전문점에서 백팩을 구입하고 그 가격으로 플래쉬와 함께 보내준다한다. 세상이 이래야 되지 않겠는가 말이다. 아주 작은 친절이 고객을 감동케 할 수도 있다는 말이다. 사실 금액적으로 볼 때 싸게 구입 가능하다거나 그런 것은 없는데 따뜻한 마음이 전해지는 것 같아 내 마음이 훈훈해졌다. 아찌 훈남입니다!

 

- Strobo 기능 버튼 소개

   1> 전원 on/OFF

   2> Mode 선택 : M (Manual), ETTL

   3> 내장/외장 Strobo : Lifetime과 광량 차이가 있다.

- M mode에서 광량 조정

   1> 1/1 이 최대 광량이고, +0.3 +0.7 즉 1/3 step씩 광량이 증가하여 1/2이 그 다음 광량이 된다.

   2> Strobo 제원에 따라 광량 조정하는 단계가 다를 수 있으므로 제원을 살펴보아야 한다.

       예를들어, 케논 580ex는 1/128까지 지원되고 반면 430ex는 1/64까지 지원된다. 즉,580ex와

       430ex는 광량에서 1 step 차이가 난다.

   3> 동일 피사체에 대해 광량 1/1 f:11이면, 1/2 f:8은 동일 광량이다. 1/4 f:5.6,1/8 f:4,1/16 f:2.8 모두는

       동일한 광량이다. 단,조리개 효과만 다를뿐이다.

   4> 동일한 광량의 예

      >> 580ex 피사체 거리 4m f:8 iso 100과

      >> 430ex 피사체 거리 4m f:5.6 iso 100과 430ex 피사체 거리 4m f:8 iso 200은 동일한 광량이 된다.

      >> 이는 580ex와 430ex가 제원에서 1 step 차이가 나기 때문이다.

   5> 1/8 4m f:5.6이 적정노출이라 가정하면, 1/8 6m f:5.6으로 촬영하면 노출부족이 된다. 적정노출이 되도록

       하려면 1/8 광량을 더 많게 조정 하여야 한다. 광량을 거리의 제곱에 비례로 변화하기 때문이다.

       실제 2 step 차이가 나므로 1/8를 1/2로 조정 하든지,조리개를 f:2.8로 조정한다.

   6> 결론적으로, Strobo의 노출 조정은 광량을 높이거나 낮추면 또는 조리개를 닫거나 열어서 조정한다.

   7> 전용 Strobo경우 광량 설정에 따른 적정거리가 표시된다. 이 거리에 피사체를 두고 촬영하면

       적정노출이 된다.

- 피사체와의 거리가 고정되어 있는 경우 M mode로 설정해서 촬영을 하고, 움직이는 피사체로 거리가

   수시로 변동되는 경우엔 ETTL mode로 설정하여 촬영하는 것이 좋다. 그러나 ETTL 경우엔 노출에

   변동이 생길 수도 있다. 이 경우 M mode로 설정하여 촬영을 하려면 피사체와의 거리에 따라 매번

   광량을 조정하여 촬영을 하면 되나 번거롭다.

- Strobo M mode 설정시 렌즈 화각과 연동을 시키면 광량이 자동으로 변경되나 가능한 이 연동은

  사용치 않는게 좋다. 여하튼 M mode 설정시 반드시 지켜야 할 사항은 피사체와의 거리이다.

   그래서 Snap Shot일 경우엔 ETTL mode가 훨씬 낫다.

- Tips : Strobo의 가장 기본적인  설정은 iso 400 f:5.6 1/60 ETTL이다.

- 인공조명은 역제곱의 법칙을 따른다.

   1> 피사체와 인공조명간의 거리가 l 이라면, 거리가 2l일 경우 피사체에 도달하는 광량은

        최소 광량의 1/2의제곱 이 된다. (즉, -2 step) 거리가 3l 이면 1/3의제곱 즉,-3 step이고

        거리가 4l이면 1/4의제곱으로 -4 step이 된다.

   2> ㅁ - - l - - ㅁ - - l - - ㅁ - - l - - ㅁ - - l - - 피사체

      f:4             f:5.6           f:8             f:16 (동일 광량 1/8 가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