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 10월 23일 서늘 그리고 맑음
- 열 네번째 학원 갔던 날. 그 동안 포토샾 작업을 한 결과물을 USB 메모리에 담아 갔다. 학원 컴퓨터에 올려서 보정 된 사진을 확인 했다. 왜냐하면 사무실에 있는 데스크탑 컴과 집에서 사용하는 테블릿 컴과 학원에서 사용하는 컴 이 세 컴퓨터의 모니터 사양이 서로 달라 같은 사진을 보아도 그 느낌이 서로 달랐기 때문이다. 그런대로 결과가 나온 것 같아 모델이 되어 준 분께 오늘 파일을 넘겼다. 포토샾 작업이 잘 된것 같다고 흐믓해 하셨다. 포토샾 작업을 해서 한 10년이상 젊게 결과를 만들었기 때문에 더욱 좋아 하셨을 것이다. 어찌 되었든 포토샾 공부를 하면서 나의 첫 결과물 제출을 하였고 해당 되는 분도 좋아하시니 작업이 잘 되고 못 되고를 떠나 나름마음이 흡족했다. 내 사진으로 포토샾 보정을 하시는 분은 어떤 결과물을 나에게 건네줄까 사뭇 기대가 크다. 사실 내가 늘 앉아 작업하는 옆 옆 자리에 늘 앉아 작업 하는 걸 곁눈질로 흘깃 보니 기대를 하면 아니 될 것 같은데...그나저나 오늘 또 숙제를 받았다. 인물사진 보정 강의는 오늘로 종료하고 다음 시간부터는 풍경사진 보정에 대해 강의를 하기 때문에 풍경사진 샘플이 필요하다 했다. 풍경사진 두장과 파노라마 사진을 만들 사진셋트 그리고 HDR(High Dynamiv Range) 사진 작업을 할 사진 셋트를 촬영해서 가져가야 된다. 삼각대를 사용하여 사진 촬영을 해야 한다는데 삼각대를 사야 하나? 사진 공부는 재미있는데 사진기 구입 할 때 쓴 비용보다 그외에 들어가는 비용이 훨 많이 들어갈 것 같다. 소위 배보다 배꼽이 더 큰 그런 경우가 아닌가 싶다. 사진촬영을 할 장소 물색을 해야 되는데...어디가 좋을까나?
- 색상 보정
1> Vibrance : 중저 채도 조정
Saturation : 전체 채도 조정 (Saturation으로 채도를 올리면 고채도에 손상이 생기므로 주의를 요한다.)
2> Color Balance : 사진 보정 Tool 중 가장 직관적인 Tool이다. 사용하기에 따라 자신만의 색감을 만들 수
있다.
>> Tone Balance는 활용 폭이 넓은 Tool 이다. Dodge/Burn과 비슷한 기능을 가진다.
>> Preview를 자주 click하여 작업 내용을 수시로 확인 해 가며 작업을 해야 한다.
>> 사람에 따라 색 신경 차이로 갗은 색에 대한 느낌이 다르므로 경험으로 그 느낌을 공부하는
수 밖에 없다. 다른 사람의 그림이나 사진을 많이 보아야 한다.
3> Hue / Saturation
>> 과거에는 채도 조정용으로 단순하게 사용했었는데 Vibrance에 그 역활을 빼앗겨서,
>> 지금은 개별적인 색상 조정으로 사용되는 Tool 이다.
>> Color Balance는 Tone별로 조정을 한다면, Hue/Saturation은 색상별로 조정을 한다.
4> Photo Filter : 사진의 분위기 색 조정
>> 사진의 전체적인 분위기 조정을 위해서는 Curves나 다른 Tool 보다 훨씬 유용하다.
>> 색을 변화 시킨다기 보다 색을 입히는 역활을 한다.
>> 카메라 렌즈 앞에 색필터를 사용하여 사진의 분위기 조정을 했었는데, 이러한 기능을
포토샾의 Photo Filter에서 색선택 후 Density를 조정하면 같은 효과를 내고 사진의 전체적인
색이 변하게 한다.
5> Black / White : 사진을 모노톤,흑백으로 변화
>> 조색사진을 만들 수 있다. : Tint을 check하면 모노톤이지만 색깔을 조정 할 수 있으며,
Hue로 색깔을 정하고 Saturation으로 농도를 조정 한다.
6> Tips : 메뉴 중 Auto Tone / Contrast / Color가 있으나 보편적인 사진이 되고 뚜렷한 특징이
없는 사진이 되어 다른 사람과 동일한 결과물을 얻게 될 뿐만 아니라,작업자의 주관
이 없는 사진이 되므로 가능한 사용치 않는것이 좋다. 그러나 작업 할 사진의 량이 엄청
많을 때는 가끔 사용 할 수도 있다.
- 사진을 선명하게 하려면 Filter -> Sharpen -> Smart Sharpen 작업을 한다.
1> 사진을 흐르게 하는 요인을 제거하는 작업이다. (예를들어, 렌즈의 구면수차,렌즈 재질,흔들림등)
2> 한 두 Pixel 정도 살짝 작업을 하는 것으로는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으나 근본적인 문제를 모두
제거 할 수는 없다.
3> 풍경사진 경우엔 Filter -> Other -> HighPass로 작업을 하면 사진 입체감이 좋아진다.
- Crop / Resize
1> Crop은 일찍 작업 하는 것이 다루는 데이타 량을 줄일 수 있므로 먼저 해 주는 것이 좋다.
2> Crop으로 한 장의 사진에서 여러 장의 사진을 만들 수도 있다.
3> Crop 할 때 유의를 할 점은 자르는 비율을 잘 고려 해야 할 것이고, 해당하는 인화지가 있는지도
고려 해야 할 점이다.
- Save (저장)
1> JPG 또는 TIFF 등 저장 하고자 하는 File Format을 먼저 정하고 저장을 해야 한다.
'사진강의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16일차 - 포토샾 풍경사진 보정 (0) | 2012.10.30 |
---|---|
15일차 - 피사계 심도와 렌즈 (0) | 2012.10.26 |
13일차 - AF Mode와 피사계 심도 (0) | 2012.10.19 |
12일차 - 포토샾 형태보정과 HSL 보정 (0) | 2012.10.16 |
11일차 - 촛점과 피사계 심도 (0) | 2012.10.12 |